반응형 전체 글142 매년 4월20일은 장애인의 날(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장애인연금 혜택) 정의 국민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기념일. 내용 매년 4월 20일. 1972년부터 민간단체에서 개최해 오던 4월 20일 '재활의 날'을 이어, 1981년부터 나라에서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해 왔습니다.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이전 재활의 날)로 정한 것은, 4월이 1년 중 모든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이어서 장애인의 재활의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둔 것이며, 20일은 다수의 기념일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한편, 1981년 UN총회는 '장애인의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주제로 '세계 장애인의 해'를 선포하고 세계 모든 국가에서 기념사업을 추진하도록 권장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장애인의 해' 기념사업의 일.. 2023. 4. 11. 1인·가족 법인에게 부동산 양도해 '세금' 아끼는 방법 부동산을 1인 법인이나 가족법인에게 양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합니다. 1 가구 1 주택 비과세, 일시적 2 주택 비과세를 위해 주택 수를 제외할 목적일 수 있습니다. 1인 법인을 설립해 임대소득, 건강보험료 등 여러 절세 목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일 수도 있습니다. 매매차익이 큰 부동산의 양도소득세를 절세할 목적일 수도 있고 법인을 활용한 증여세, 상속세 절세 목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소득세법에 따라 1가구 1 주택자 또는 일시적 2 주택자들은 보유하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해당 주택 외 오피스텔 등 세법상 주택에 포함되는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어 비과세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소득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일시적 2주택 처분 기한이 3년으.. 2023. 4. 6. 2023년 실업급여( 조건, 상한액, 하한액, 수급기간) 신청방법 실업급여 제도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활동 기간 소정의 급여를 지급받은 제도입니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던 근로자라도 일했던 사업장이 고용보험에 당연히 가입해야 하는 사업장인 경우에는 근로자가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확인청구하여 사실관계 확인이 되면 3년 이내 근무기간에 대해서는 피보험자격을 소급 취득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중 구직급여는 퇴직 다음날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하면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다고 하더라도 더 이상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 신청없이 재취업하면 지급받을 수 없으므로 퇴직 즉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바뀐 실업급여 - 고용보험 가입 기간 300일 이상/최저임금 60% - 취업 거부나 형식적 구직활동 시 미지급 - 매달 2번 이상 필수적으로 구직 활동 .. 2023. 4. 5. 2023년 미성년자 자녀 증여관려(주식 및 세율등...) 증여세 자녀 증여한도 부모가 미성년자 자녀에게 증여를 한다면 2000만 원까지는 자녀 증여한도로 증여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한 번에 증여하는 금액의 기준이 아닌 10년 간 다 합친 금액이 기준이기 때문에 아무리 조금씩 증여를 하더라도 합쳐서 2000만 원이 넘는다면 세금 납부를 하셔야 합니다. 증여자 공제 한도액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성인) 5천만 원 직계존속(미성년) 2천만 원 직계비속 5천만 원 기타친족 1천만 원 자녀에게 증여세 없이 현금 증여하는 방법 분산 증여의 방법을 사용하여 증여세면제 한도 내에서 증여를 하면 됩니다. 증여세는 들여 시점을 기준으로 10년간 증여받은 총금액이 합산되어 산정되기에 10년을 기중으로 분산하여 증여하면 증여세 없이 자녀에게 최대 금액인 1억 4천만 .. 2023. 4. 4.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6 다음 반응형